[HUG 자금난, 반환보증 사업 중단 위기: 앞으로의 대책은?]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자금난과 이로 인한 반환보증 사업 중단 위기 사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올 들어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피해가 이어지면서 HUG의 재정 상태가 크게 악화되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UG는 연내 채권 발행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이 과정과 그로 인한 일반 세입자들이 받을 영향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HUG 자금난: 전세사기와 깡통전세의 여파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들어보셨나요? 올해 들어 특히 서울 강서구 화곡동 일대에서 이런 피해가 심각했어요.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빼돌리는 전세사기와 집값이 떨어져 전세보증금보다 낮아지는 깡통전세가 이런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HUG는 이런 문제로 인해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갚아주는 대위변제를 실시해 왔습니다. 그러나 올해 들어 대위변제 금액이 무려 7조2514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작년의 대위변제액은 4조9229억원이었고, 그 전해인 2022년에는 1조581억원이었습니다. 이처럼 대위변제 금액이 폭증하면서 HUG의 재정 상태도 악화되었습니다.
보증배수의 증가: 법적 상한을 초과한 위기상황
자본 대비 보증금액의 비율인 보증배수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HUG의 보증배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올해 4분기에는 132.5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이는 법적으로 허용된 상한선인 90배를 훌쩍 넘는 수치입니다. 이로 인해 내년부터는 전세금 반환보증을 제공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왜 이렇게 됐을까요?
새로운 회계기준이 적용되면서 HUG의 재무 상태를 더욱 악화시키는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새로운 기준은 대위변제액을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보증배수를 크게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자본 확충을 위한 채권 발행: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HUG는 이러한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내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려고 합니다. 자본 확충을 통해 보증배수를 낮추고, 반환보증 사업을 계속 이어가기 위함입니다. 발행 예정인 신종자본증권의 규모는 5000억원 이상이며, 이르면 10월 말에서 11월 초에 발행될 예정입니다. 현재 주관사 선정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HUG 관계자는 "연내 발행하면 올해 자본이 늘고 보증배수에 반영이 된다"며 "보증 중단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 채권 발행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자본 확충에 기여할지는 지켜봐야 할 문제입니다.
미래를 위한 대책: 필요한 실질적인 방안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은 "HUG의 재무상황이 계속해서 악화되는 만큼 안정적인 보증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채권 회수 강화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HUG의 자금난을 해결하고 세입자 보호를 위한 장기적인 대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메시지입니다.
마무리
HUG의 자금난과 반환보증 사업 중단 위기 사태는 많은 세입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HUG는 채권 발행을 서두르고 있지만, 실제로 얼마나 효과를 거둘지는 미지수입니다. 중요한 것은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장기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사태를 통해 우리는 세입자 보호와 금융 안정성을 동시에 지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됩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댓글로 남겨주세요.
부동산 다양한 정보를 원하신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하세요.